2016. 5. 15.

4. 부품

1. 프레임

사진출처:http://www.rcdude.com/product-p/zmr-250-frame.htm
일반적으로 zmr250, nighthawk250, vector 등의 제품들이 강도가 강하고 저렴하여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제품이다.

1) 크기 
기체 프레임은 qav250처럼 기체명 뒤에 숫자가 붙는다. 숫자의 의미는 모터와 모터대각선의 거리가 250mm라는 뜻이다. 250급기체가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최근엔 210급이나 180급기체도 사용된다. 
프레임 크기가 클수록 프로펠러의 크기가 큰 제품을 장착할 수 있어 좀 더 비행안정성이 좋고 프레임크기가 작으면 방향전환성이 좋아진다. 
2) 재질
재질은 카본, 믹스카본, 나이론, 유리섬유 등이 있다. 퓨어카본재질은 비싸지만 강도가 강하여 많이 사용된다. 구매시 탄소섬유로만 만들어진 퓨어카본재질인지 다른 재료가 섞인 믹스카본재질인지 확인한 후 구매하여야한다. 카본재질은 기본적으로전류가 통하므로 전선에 절연작업을 제대로 하지 않는다면 합선의 염려가 있다.
3)구성
프레임몸통과 암대가 분리되어 조립하는 분리형기체와 프레임몸통과 암대가 분리되지 않는 일체형제품이 있다. 일체형프레임이 분리형보다 강도가 강하고 가벼워 도론조종이 익숙한사람들이 주로 선택한다. 초보자의 경우엔 추락사고가 많이 발생하여 부품이 자주 손상되므로 분리형 프레임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조립형프레임의 암대가 부러졌다면 그 암대의 모터와 변속기만 분리하면 되지만 일체형프레임의 경우엔 처음부터 다시 조립해야하기 때문이다. 모터와 변속기등을 납땜하지않고 무게가 더 무거운 커넥터를 사용하는 이유와 같다. 
4)기타
- 프레임 파손이 자주 발생하므로 분리형프레임을 구매한 경우 암대를 따로 구매할 수 있는 것이 좋다.
- 뱅굿, 하비킹 등 외국 사이트엔 매우 다양한 제품들이 많다.

2. FC

드론의 두뇌라고 할 수 있으며, 자이로센서가 있어 비행 중 수평을 쉽게 잡을 수 있게 하며 제품에 따라 GPS나 기압계 등의 센서가 추가된 제품이 있다.

1)CC3D
사진출처:https://subak-io.gitbooks.io/cleanflight/content/IntroCC3D.html
- 인터넷에 세팅 및 배선 정보들이 많아 초보자들이 접근하기 좋은 FC이다. 
- 오프라인매장에서도 많이 판매하고 케이스가 있는 제품도 있다. 
- 소프트웨어는 오픈플라이트를 사용한다.

2)NAZE32
사진출처:https://www.heliproz.com/abusemark-funfly-acro-naze32-revision-6-flight-controller-presoldered-abuacronazepsr6/p466931
- CC3D에 비하여 정보를 구하기 쉽지 않다.
- 최근 rev6버전까지 출시되어 있다.
- 자이로센서, 기압센서만 포함된 아크로버전과 지자계센서, 기압계까지 포함된 풀버전이 있다.
- CC3D보다는 비행안정성이 좋다는 의견이 많다.
- 소프트웨어는 클린플라이트를 사용한다.

3)SPracingF3
사진출처:http://www.banggood.com/Upgrade-NAZE32-SP-Racing-F3-Flight-Control-6-DOF-10-DOF-for-Milticopter-p-1010232.html

- 사용자가 최근 많이 사용한다. 대회에서 주로 사용하는 FC이다.
- NAZE와 같이 클린플라이트를 사용한다.
- NAZE의 업그레이드버전이라고 볼 수 있다.
- 배선연결하여도 부피가 작고 배선연결이 편하다.

3. 변속기

1)변속기의 명칭
변속기를 보면 12A, 20A, 30A 등의 숫자를 볼 수 있다. 이 숫자는 변속기의 허용암페어를 뜻하는데 이는 사용하는 모터의 종류와 배터리의 종류에 따라 변한다. 배터리가 3셀일 경우 11.1V(1셀 당 3.7V)를 사용한다. 3셀배터리의 경우 20A의 변속기, 4셀이상을 사용할 경우 30A변속기를 추천한다.

2)BEC내장형과  OPTO
배터리의 전압은 약 12V를 사용하지만 FC나 변속기의 경우 주로 5V의 전압을 사용한다. 따라서 전압을 변환시켜주는 BEC가 필요하다. BEC내장형 변속기의 경우는 따로 BEC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때문에 전원분배보드만 있으면 된다. 하지만 OPTO변속기의 경우 별도의 BEC를 장착해주어야 한다. 전원분배보드를 사용할 경우 변속기마다 BEC를 연결해주고, BEC보드를 사용하여야 한다.

3)펌웨어
- FC에서 변속기로 신호를 보내면 변속기가 모터의 출력을 제어한다. 변속기의 종류는 많지만 변속기에 들어가는 펌웨어에 따라 크게 BLHeli와 SimonK로 구분할수 있다. 
- 상대적으로 BLHeli는 반응성이 좋고 SimonK는 비행안정성이 좋다.
- BLHeli펌웨어는 oneshot125를 지원한다. oneshot125 Dampedlight기능을 활성화시켜 반응성이 빨라진다. 자동차로보면 급가속, 급감속을 지원하는 모드라고 생각하면 된다. 
- 변속기를 컴퓨터와 연결하여 펌웨어업그레이드를 해야한다.
- 펌웨어 방법은 별도의 업그레이드 툴을 사용하거나 아두이노, FC등을 통하여 컴퓨터와 연결하여 업데이드 한다.

4. 모터

1)모터의 명칭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모터규격 [2204 2300Kv-CW]
- 위 모터의 경우 앞의 2204는 모터의 직경과 높이를 말한다. 즉 지름 22mm, 높이 4mm의 모터이다. 
- Kv는 전압 1V당 회전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2300Kv에 3셀 배터리를 연결할 경우 분당 약 25530회전수를 갖게 된다.(2300*11.1=25530, 효율계수생략)
- CW가 적혀있으면 정회전모터, CCW는 역회전 모터이다. 모터의 회전방향과 프로펠러고정나사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어서 모터가 회전하면서 생기는 힘으로 나사를 더 단단하게 고정시킬수 있다. 모터에따라서 역방향모터가 따로 없는 경우도 있다. 모터회전방향은 변속기와 모터의 전선연결방법, 변속기의 세팅, FC의 세팅으로 쉽게 바꿀 수 있다.

2) 모터의 선택
드론이 바닥에 추락하면서 모터가 직접적으로 충격을 받게 되는 경우가 많아서 쉽게 고장나는 부품이다. 따라서 2300Kv보다 낮은 1960Kv를 사용하거나 저렴한 모터를 사용하여 연습하는 것이 좋다.

5. PDB

사진출처:http://www.hobbyrc.co.uk/matek-mini-power-hub-v3-pdb-5v-12v-bec
- 배터리의 전압은 보통 12V 전후이다. 하지만 변속기와 FC는 5V에 작동하므로 12V를 직접연결하면 고장나게 된다. 따라서 BEC를 구매하여 변속기와 FC에 들어가는 전압을 낮춰주어야한다. 파워보드에 전원을 인가시켜주면 12V와 5V로 전원을 분배해준다. 12V는 카메라나 LED등에 사용하고, 5V는 FC와 변속기등에 사용한다.
- Matek사의 5in1 PDB제품은 5V와 12V의 BEC기능과 LED콘트롤러, 로스트알람, 저전압알람이 있다. 저전압알람은 3.4V, 3.5V, 3.6V로 설정가능하다.

사진출처:http://www.hobbyrc.co.uk/spedix-arf-s250q-carbon-fibre-mini-quad-kit

 SPEDIX사의 PDB는 납땜이 필요없이 2mm커넥터로 연결이 가능한 제품.
사진출처:http://www.hobbysquare.com.sg/index.php/zmr250-pdb-v2-for-cc3d-naze32-with-micro-minimosd-buzzer-lc-filter-5-12v-bec-regulator.html
프레임과 PDB가 결합된 제품. 강도가 약하지만 무게와 크기를 많이 줄일 수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